전체 글37 영화 청설 소통, 장애, 사랑 영화 청설(聽說, Hear Me)은 제목부터 참 오묘합니다. 청설은 "듣다"라는 뜻을 가진 단어인데 정작 영화에서 가장 중요하게 전달하고자 하는 것은 '듣는 것'이 아닙니다. 이 영화는 청각장애를 가진 양양과 그녀를 사랑하게 된 티엔쿠오의 이야기를 그려내고 있습니다. 얼핏 보면 평범한 로맨스 영화처럼 보이지만 사실 그 이상의 무언가를 담고 있습니다. 장애(障礙)를 다룬 영화들은 종종 ‘극복(克復)’이라는 키워드를 앞세우고 있습니다. 하지만 청설은 다릅니다. 이 영화는 장애를 넘어 ‘함께 살아가는 법’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세상이 바라보는 편견과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꿈 그리고 사랑이 가진 힘까지 이 영화는 그 모든 것을 조용히 그러나 깊이 있는 시선으로 담아내고 있습니다. 만약 우리들이 장애를 가지고 .. 2025. 3. 28. 영화 라라랜드 사운드트랙, 재즈와 클래식, 스토리텔링 2016년 개봉한 영화 라라랜드(La La Land)는 현대적인 감각과 고전적인 뮤지컬 요소를 조화롭게 결합한 작품으로 음악적으로도 큰 찬사를 받았습니다. 데이미언 차젤레(Damien Chazelle) 감독과 작곡가 저스틴 허위츠(Justin Hurwitz)가 함께 만들어낸 이 영화의 사운드트랙은 단순한 배경음악을 넘어 영화의 서사와 감정을 극대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습니다. 재즈, 클래식, 팝이 어우러진 독창적인 음악적 스타일과 함께 감미로운 멜로디와 서정적인 가사는 많은 관객들의 감성을 자극했습니다. 이러한 음악적 요소는 단지 영화를 돋보이게 하는 데 그치지 않고, 영화의 주제와 메시지를 더욱 잘 전달하는 중요한 도구로 작용합니다. 특히 이 영화는 클래식 뮤지컬의 전통을 현대적인 이야기와 감성으로.. 2025. 3. 28. 영화 청년경찰 패기와 한계, 젊은 세대, 사회적 시스템 2017년에 개봉한 영화 《청년경찰》(Midnight Runners)은 코미디와 액션이 어우러진 버디 영화로, 두 경찰대생이 펼치는 좌충우돌 수사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박서준과 강하늘이 연기한 주인공 기준과 희열은 유쾌한 케미스트리와 현실적인 액션으로 관객들의 큰 인기를 얻었습니다. 그러나 이 영화는 단순한 청춘 액션물이 아니라, 그 안에 중요한 사회적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영화는 경찰이라는 직업을 맡은 젊은이들의 책임과 역할, 그리고 정의를 실현하려는 과정에서 맞닥뜨리는 현실적 한계에 대해 탐구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오락적인 요소를 넘어서, 우리 사회의 현실을 반영한 중요한 질문들을 던집니다. 특히 젊은 세대가 직면한 사회적 문제와 그들의 정의감이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 2025. 3. 28. 영화 스쿨 오브 락 / 잭 블랙과 아이들 / OST 2003년 개봉한 영화 스쿨 오브 락(School of Rock)은 단순한 음악 영화가 아닙니다. 이 작품은 락 음악의 순수한 즐거움과 열정을 유쾌하게 담아낸 걸작으로 개봉 이후 수많은 락 마니아들과 영화 팬들에게 사랑받아 왔습니다. 리처드 링클레이터(Richard Linklater) 감독과 잭 블랙(Jack Black)의 유쾌한 연기가 어우러지며 탄생한 이 영화는 코미디와 감동을 적절히 조합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전설적인 록 밴드들의 음악이 가득한 OST와 락의 본질을 깨닫게 하는 메시지는 이 영화를 더욱 특별하게 만들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스쿨 오브 락이 왜 여전히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지와 음악적, 영화적 관점에서 어떤 가치가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려고 합니다. 잭 블랙의 열정적.. 2025. 3. 27. 이전 1 ··· 3 4 5 6 7 8 9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