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들어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교육의 방식에도 커다란 변화를 불러왔습니다. 전통적(傳統的)인 교실 수업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시간과 공간의 제약(制約)을 극복한 온라인 학습은 전 세계적(世界的)으로 빠르게 확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 있는 인물이 바로 ‘살만 칸(Salman Khan)’입니다. 그는 2008년, 누구나 무료로 배울 수 있는 온라인 학습 플랫폼인 칸 아카데미(Khan Academy)를 설립하며 전통적인 교육 패러다임을 혁신적(革新的)으로 전환한 선구자입니다. 칸 아카데미는 단순한 학습 보조 도구를 넘어 개별 학습자(學習者)의 속도에 맞춘 맞춤형 교육을 가능하게 했고 전 세계 수천만 명의 학생들에게 새로운 학습 기회를 제공(提供)해 주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살만 칸의 배경과 칸 아카데미의 설립 동기 그리고 그가 이끈 온라인 교육 혁신의 의미를 자세히 살펴보고 이러한 흐름이 오늘날 우리가 추구해야 할 교육 방향에 어떤 시사점(示唆點)을 주는지 분석하고자 합니다.
살만 칸의 배경과 칸 아카데미의 탄생 배경
살만 칸은 방글라데시계 이민자(移民者) 부모 밑에서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태어났습니다. MIT에서 전기공학과 컴퓨터공학을 전공한 후 하버드대학교에서 경영학(經營學) 석사 학위를 취득한 그는 본래 교육보다는 금융 분야에서 경력을 쌓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2004년, 친척 아이의 수학 공부를 도와주기 위해 유튜브에 짧은 강의 영상을 올린 것이 계기가 되어 인생의 방향(方向)이 완전히 바뀌게 됩니다. 살만 칸은 단순히 가르치는 것을 넘어서 학습자(學習者) 한 명 한 명에게 꼭 맞는 방식으로 지식을 전달하는 것에 큰 의미를 두었습니다. 기존의 학교 교육에서는 한 교사가 여러 학생을 동시에 가르쳐야 하므로 각자의 수준(水準)과 속도(速度)에 맞는 교육이 어렵다는 점에 주목한 그는 동영상 강의를 통해 학생들이 반복해서 보고 자신의 진도(進度)에 맞게 학습할 수 있도록 돕는 방식을 고안(考案)하였습니다. 그의 유튜브 채널은 빠르게 입소문을 타며 성장했고 결국 2008년에는 본격적(本格的)으로 ‘칸 아카데미(Khan Academy)’라는 이름으로 비영리(非營利) 교육 플랫폼을 설립하게 됩니다. 칸 아카데미는 “누구에게나, 어디에서나, 무료로 수준 높은 교육을 제공한다(To provide a free, world-class education for anyone, anywhere)”는 사명감을 가지고 출범(出帆)하였으며 이는 지금도 칸 아카데미의 핵심 가치로 남아 있습니다. 살만 칸은 모든 학습자(學習者)에게 평등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겠다는 신념을 바탕으로 플랫폼을 확장해 나갔고, 그 결과 수학, 과학, 역사, 경제 등 다양한 과목을 아우르는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제작하여 세계 곳곳의 교육 현장에 실질적(實質的)인 변화를 일으켰습니다. 특히 그는 칸 아카데미를 단순한 영상 강의에 그치지 않고 학습의 진단(診斷)과 피드백, 맞춤형 학습 경로 제공 등의 기능을 통해 학습자의 자율성(自律性)과 흥미(興味)를 높일 수 있도록 설계하였습니다. 학습자가 틀린 문제를 반복하여 연습하거나 자신의 약점 영역을 파악해 보완(補完)할 수 있는 시스템은 오늘날의 에듀테크(Edutech) 분야에서 핵심적(核心的)인 모델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처럼 살만 칸은 개인적(個人的)인 경험에서 출발하여 기술과 교육의 접목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공정하고 혁신적(革新的)인 학습 환경을 만들어낸 교육 혁신가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습니다.
칸 아카데미가 가져온 교육 혁신의 핵심
살만 칸의 칸 아카데미는 단순한 온라인 강의 플랫폼을 넘어 교육의 본질에 대한 철학적(哲學的) 전환을 이끌었습니다. 첫 번째로 주목할 점은 학습의 개별화(Personalized Learning)입니다. 전통적(傳統的)인 교실 수업에서는 정해진 시간표에 따라 집단이 함께 진도를 나가지만 칸 아카데미에서는 각 학습자(學習者)가 자신의 이해 수준과 진도에 맞춰 학습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학생 중심 교육의 이상을 현실적(現實的)으로 구현한 사례로 교육 평등성(平等性)과 학습 효율성(效率性)을 동시에 높인 모델로 평가됩니다. 예컨대, 어떤 학생은 덧셈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고 다른 학생은 이미 미적분 단계를 학습하고 있다고 할 때, 칸 아카데미는 각각의 학생에게 알맞은 콘텐츠를 자동으로 제시(提示)하며 개인 맞춤형 학습 경로를 제공합니다. 두 번째는 ‘배움의 속도는 모두 다르다’라는 전제를 기반으로 한 숙달 학습(Mastery Learning) 방식입니다. 칸 아카데미에서는 개념(槪念)을 완벽하게 이해하기 전에는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어 학생들이 개념을 단단히 다지고 진도를 나갈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는 시험 위주의 평가 체계에서 벗어나 진정한 학습의 깊이와 내면화(內面化)를 지향하는 중요한 변화입니다. 이 접근은 실패를 수용하고 반복을 통한 학습의 내재화(內在化)를 강조하는 교육 심리학적 원칙과도 일맥상통(一脈相通)합니다. 세 번째는 학습의 민주화(民主化)입니다. 살만 칸은 누구나 무료로 양질의 교육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하였습니다. 경제적(經濟的) 여건이나 지역적(地域的) 한계를 극복하려는 방편으로 칸 아카데미는 인터넷이 가능한 곳이라면 어디에서든 사용할 수 있으며 실제로 아프리카, 아시아, 중남미 등의 저소득(低所得) 국가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더 나아가 전 세계 수많은 교육자(敎育者)가 칸 아카데미의 콘텐츠를 수업 보조 자료로 활용하고 있으며, 미국 내 일부 학교에서는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 모델로 칸 아카데미를 적극 활용하는 사례도 증가(增加)하고 있습니다.
한국 교육에 주는 시사점과 본받아야 할 점
살만 칸과 칸 아카데미가 제시한 학습 혁신은 한국 교육에도 중요한 시사점(示唆點)을 제공합니다. 현재 한국의 교육은 여전히 대입 중심의 경쟁적(競爭的) 구조와 정형화(定型化)된 수업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학습자의 다양성(多樣性)과 개별성(個別性)을 고려한 교육 모델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입니다. 이 지점에서 칸 아카데미의 개별 맞춤형 학습 시스템은 큰 참고가 될 수 있습니다. 학습자(學習者)의 수준에 맞게 진도를 조절하고, 반복 학습을 통한 개념 숙달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은 학습 결손(缺損)을 방지하고 자기주도 학습 역량을 길러주는 데 효과적(效果的)입니다. 특히 최근 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온라인 수업이 보편화(普遍化)되면서 한국 교육에서도 에듀테크 기반의 학습 플랫폼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수준에 머무르지 않고 학습 데이터를 분석하여 피드백을 제공하고 개별 학생의 학습 성향에 따른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발전하는 것이 관건(關鍵)입니다. 이 점에서 칸 아카데미는 매우 구체적(具體的)인 모델을 제시하고 있으며 한국 교육계에서도 이에 대한 적극적(積極的)인 연구와 도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살만 칸이 강조한 교육의 공공성(公共性)과 평등성(平等性)은 우리 사회가 반드시 지켜야 할 가치입니다. 교육이 특정 계층이나 지역에 국한(局限)되지 않고 누구나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철학은 한국 사회에서도 여전히 유효합니다. 특히 교육격차(敎育隔差), 지역 격차, 소득격차(所得隔差)로 인한 학습 기회의 불균형은 앞으로도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對案)으로 살만 칸의 철학은 매우 큰 의미를 가집니다.
살만 칸은 단지 교육 기술을 활용한 창업가(創業家)가 아니라 교육의 본질적 가치를 새롭게 정의한 교육 혁신가(革新家)입니다. 칸 아카데미는 기술을 활용하여 누구나, 어디서나, 무료로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학습자 중심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혁신적(革新的)인 사례로 평가받습니다. 학습의 개별화(個別化), 숙달 중심 학습, 교육의 민주화(民主化)라는 핵심 가치는 전 세계 교육계에 강력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학습 환경 속에서 더욱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한국 교육 또한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학습자의 다양성(多樣性)과 자율성(自律性)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며, 살만 칸이 실현한 온라인 교육 모델은 그 실현 가능성(可能性)을 입증한 중요한 사례로 참고할 필요가 있습니다. 디지털 기술은 교육의 도구일 뿐만 아니라 교육 철학을 구현하는 수단(手段)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한 점에서 살만 칸의 사례는 우리 모두에게 ‘교육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본질적(本質的)인 질문을 던지며 앞으로의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摸索)하는 데 중요한 나침반이 될 것입니다.